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백준

[백준 알고리즘]_1차원 배열

1. 10807_개수 세기

 

▶ 문제

총 N개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 정수 v가 몇 개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1 <= N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셋째 줄에는 찾으려고 하는 정수 v가 주어진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정수와 v는 -100보다 크거나 같으며, 100보다 작거나 같다.

 

▶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N개의 정수 중에 v가 몇 개인지 출력한다.

 

▶ 예제입력1

11
1 4 1 2 4 2 4 2 3 4 4
2

 

▶ 예제출력1

3

 

▶ 예제입력2

11
1 4 1 2 4 2 4 2 3 4 4
5

 

▶ 예제출력2

0

 

▶ 풀이01_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anner.nextInt();    // 정수 개수 n개
        int arrayNum[] = new int[num];

        for(int i = 0; i < num; i++) {
            arrayNum[i] = scanner.nextInt();
        }
        int findNum = scanner.nextInt();
        int count = 0;
        for(int i = 0; i < num; i++) {
            if(findNum == arrayNum[i]) {
                count++;
            }
        }
        System.out.println(count);
    }
}

 

▶ 풀이02_BufferedReader, StringTokeniz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ayNum[] = new int[num];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i = 0; i < num; i++) {
            arrayNum[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int find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count = 0 ;

        for(int i = 0; i < arrayNum.length; i++) {
            if(findNum == arrayNum[i]) {
                count++;
            }
        }
        System.out.println(count);
        br.close();
    }
}

2. 10871_X보다 작은 수

 

▶ 문제

정수 N개로 이루어진 수열 A와 정수 X가 주어진다. 이때, A에서 X보다 작은 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N과 X가 주어진다. (1 <= N, X <= 10,000) 둘째 줄에 수열 A를 이루는 정수 N개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모두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 출력

X보다 작은 수를 입력받은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X보다 작은 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 예제입력1

10 5
1 10 4 9 2 3 8 5 7 6

 

▶ 예제출력1

1 4 2 3

 

▶ 풀이01_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anner.nextInt();
        int findNum = scanner.nextInt();
        int numArr[] = new int[num];

        for(int i = 0; i < num; i++) {
            numArr[i] = scanner.nextInt();
        }

        for(int i = 0; i < numArr.length; i++) {
            if (numArr[i] < findNum) {
                System.out.print(numArr[i] + " ");
            }
        }

    }
}

 

▶ 풀이02_BufferedReader, StringTokeniz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nu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findNu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i = 0; i < num; i++) {
            int valu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f(value < findNum) {
                sb.append(value).append(" ");
            }
        }
        System.out.println(sb);
        br.close();
    }
}

더보기

 

더보기

중간에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을 한 번 더 작성하는 이유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은 사용자로부터 첫 번째 줄을 입력받음 ("10 5"처럼)

그 줄을 공백 기준으로 나눈 토큰 집합(10과 5)을 만들어 st에 저장하는데, 이때 st 객체는 "첫 번째 줄의 토큰만 알고 있음"

그리고 두 번째 줄에는 수열이 들어오는데 (1 10 4 9 2 3 8 5 7 6) 이미 st.nextToken()을 반복문 안에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시 한번 더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수열을 꺼내려고 하면 문제가 생김.

 

즉, 정리하면BufferedReader.readLind()은 한 줄짜리 문자열만 읽고,StringTokenizer는 그 한 줄을 토막내주는 도구임.그래서 줄이 바뀌면 readLine() 다시 → StringTokenizer도 다시 작성해야 함.


3. 10818_최소, 최대

 

▶ 문제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이때,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재 줄에는 N개의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주어진다. 모든 정수는 -1,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정수 N개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 예제입력1

5
20 10 35 30 7

 

▶ 예제출력1

7 35

 

▶ 풀이01_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anner.nextInt();
        int numArr[] = new int[num];


        for(int i = 0; i < num; i++) {
            numArr[i] = scanner.nextInt();
        }

        int max = numArr[0];
        int min = numArr[0];

        for(int i = 0; i < num; i++) {

            if(max < numArr[i]) {
                max = numArr[i];
            }
            if(min > numArr[i]) {
                min = numArr[i];
            }
        }
        System.out.println(min + " " + max);
    }
}

 

▶ 풀이02_BufferedReader, StringTokeniz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u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numArr[] = new int[num];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i = 0; i < num; i++) {
            numArr[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int max = numArr[0];
        int min = numArr[0];

        for(int i = 0; i < num; i++) {
            if(max < numArr[i]) {
                max = numArr[i];
            }
            if(min > numArr[i]) {
                min = numArr[i];
            }
        }
        System.out.println(min + " " + max);
        br.close();
    }
}

 


4. 2562_최댓값

 

▶ 문제

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 29, 38, 12, 57. 40, 85, 61 이 주언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 이 값은 8번째 수이다.

 

▶ 입력

첫째 줄부터 아홉 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의 자연수가 주어짐. 주어지는 자연수는 100보다 작음.

 

▶ 출력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출력한다.

 

▶ 예제입력1

3
29
38
12
57
74
40
85
61

 

▶ 예제출력1

85
8

 

▶ 풀이01_Scanen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umArr[] = new int[9];
        int max = 0;
        int count = 0;


        for(int i = 0; i < numArr.length; i++) {
            numArr[i] = scanner.nextInt();
            if(max < numArr[i]) {
                max = numArr[i];
                count = i + 1;
            }
        }
        System.out.println(max + "\n" + count);


    }
}

 

▶ 풀이02_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umArr[] = new int[9];
        int max = 0;
        int count = 0;

        for(int i = 0; i < numArr.length; i++) {
            numArr[i]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max < numArr[i]) {
                max = numArr[i];
                count = i + 1;
            }
        }
        System.out.println(max + "\n" + count);
    }
}

 

▶ 풀이03_배열사용안함, BufferedReader

package _2562;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max = 0;
        int count = 0;

        for(int i = 0; i < 9; i++) {
            int 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max < num) {
                max = num;
                count = i + 1;
            }
        }
        System.out.println(max + "\n" + count);
    }
}
더보기

풀이02, 풀이03에 대해 시간은 같음.


5. 10810_공 넣기

 

▶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가장 처음 바구니에는 공이 들어있지 않으며, 바구니에는 공을 1개만 넣을 수 있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공을 넣으려고 한다. 도현이는 한 번 공을 넣을 때, 공을 넣을 바구니 범위를 정하고, 정한 바구니에 모두 같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넣는다. 만약, 바구니에 공이 이미 있는 경우에는 들어있는 공을 빼고, 새로 공을 넣는다. 공을 넣을 바구니는 연속되어 있어야 한다.

공을 어떻게 넣을지가 주어졌을 때, M번 공을 넣은 이후에 각 바구니에 어떤 공이 들어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N(1 <= N <= 100)과 M(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서 공을 넣는 방법이 주어진다. 각 방법은 세 정수 i j k로 이루어져 있으며, i번 바구니부터 j번 바구니까지에 k번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넣는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2 5 6은 2번 바구니부터 5번 바구니까지에 6번 공을 넣는다는 뜻이다. (1 <= i <= j <= N, 1 <= k <= N)

도현이는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대로 공을 넣는다.

 

▶ 출력

1번 바구니부터 N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의 번호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공이 들어있지 않은 바구니는 0을 출력한다.

 

▶ 예제입력1

5 4
1 2 3
3 4 4 
1 4 1
2 2 2

 

▶ 예제출력1

1 2 1 1 0

 

▶ 출력01_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anner.nextInt();  // 바구니 수
        int M = scanner.nextInt();  // 공 넣기 횟수

        int basket[] = new int[N];

        for(int m = 0; m < M; m++) {
            int i = scanner.nextInt();
            int j = scanner.nextInt();
            int k = scanner.nextInt();

            for(int b = i - 1; b <= j - 1; b++) {
                basket[b] = k;
            }
        }
        for (int result : basket) {
            System.out.print(result + " ");
        }
        scanner.close();
    }
}

 

▶ 풀이02_BufferedReader, StringTokeniz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asket[] = new int[N];


        for(int m = 0; m < M; m++)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k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int b = i - 1; b <= j - 1; b++) {
                basket[b] = k;
            }
        }
        for (int result : basket) {
            sb.append(result).append(" ");
        }
        System.out.println(sb);
        br.close();
    }
}

더보기

첫 번째는 풀이02, 두 번째는 풀이01


6. 10813_공 바꾸기

 

▶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바구니에는 공이 1개씩 들어있고, 처음에는 바구니에 적혀있는 번호와 같은 번호가 적힌 공이 들어있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공을 바꾸려고 한다. 도현이는 공을 바꿀 바구니 2개를 선택하고, 두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서로 교환한다.

공을 어떻게 바꿀지가 주어졌을 때, M번 공을 바꾼 이후에 각 바구니에 어떤 공이 들어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과 M (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서 공을 교환할 방법이 주어진다. 각 방법은 두 정수 i j로 이루어져 있으며, i번 바구니와 j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을 교환한다는 뜻이다. (1 <= i <= j <= N) 도현이는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대로 공을 교환한다.

 

▶ 출력

1번 바구니부터 N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의 번호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 예제입력1

5 4
1 2
3 4
1 4
2 2

 

▶ 예제출력1

3 1 4 2 5

 

▶ 풀이01_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anner.nextInt();
        int M = scanner.nextInt();
        int[] basket = new int[N + 1];

        // 바구니 번호에 맞게 초기화
        for(int m = 1; m <= N; m++) {
            basket[m] = m;
        }

        for(int m = 0; m < M; m++) {
            int i = scanner.nextInt();
            int j = scanner.nextInt();

            int temp = basket[i];
            basket[i] = basket[j];
            basket[j] = temp;

        }

        for(int m = 1; m <= N; m++) {
            System.out.print(basket[m] + " ");
        }
    }
}

 

▶ 풀이02_BufferedReader, StringTokeniz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asket = new int[N + 1];

        for(int m = 1; m <= N; m++) {
            basket[m] = m;
        }

        for(int m = 0; m < M; m++)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temp = basket[i];
            basket[i] = basket[j];
            basket[j] = temp;
        }

        for(int m = 1; m <= N; m++) {
            sb.append(basket[m]).append(" ");
        }

        System.out.println(sb);
        br.close();
    }
}

 

▶ 풀이03_BufferedReader, 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str = br.readLine().split(" ");

        int basketNum = Integer.parseInt(str[0]);
        int changeNum = Integer.parseInt(str[1]);

        int[] basket = new int[basketNum + 1];

        for(int m = 1; m <= basketNum; m++) {
            basket[m] = m;
        }

        for(int m = 0; m < changeNum; m++) {
            String[] readArray = br.readLine().split(" ");

            int ball1 = Integer.parseInt(readArray[0]);
            int ball2 = Integer.parseInt(readArray[1]);

            int temp = basket[ball1];
            basket[ball1] = basket[ball2];
            basket[ball2] = temp;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int m = 1; m <= basketNum; m++) {
            sb.append(basket[m]).append(" ");
        }
        System.out.println(sb);
    }
}

● 사용자에게 입력 줄 받기

 

사용자의 첫 번째 입력 줄을 읽고 " "(공백)을 기준으로 나눔.

예를 들어  5 4를 입력하면 str[0] = "5", str[1] = "4"BufferedReader는 입력받은 내용을 한 줄 전체를 문자열(String)로 읽어오기 때문에, 공백으로 구분된 여러 개의 값을 따로 처리함

 

● 변수 초기화

basketNum : 바구니 개수

changeNum : 공을 바꿀 횟수

basket : 실제 바구니 배열 (index 1부터 사용하므로 크기를 +1 해줌)

 

● 바구니 초기값 설정_첫 번째 for문

for문을 돌려서 각 바구니에 번호에 맞게 번호를 채움.

basket[1] = 1, basket[2] = 2, ... , basket[n] = n

 

● 공 바꾸기 실행_두 번째 for문

공을 바꿔야 하는 횟수만큼 반복. 입력된 두 위치 ball1, ball2의 값을 서로 바꿈.

출력은 모든 바구니 값을 문자열로 이어 붙이고 한 번에 출력함.


7. 5597_과제 안 내신 분..?

 

▶ 문제

X대학 M교수님은 프로그래밍 수업을 맡고 있다. 교실엔 학생이 30명이 있는데, 학생 명부엔 각 학생별로 1번부터 30번까지 출석번호가 붙어 있다.

교수님이 내준 특별과제를 28명이 제출했는데, 그중에서 제출 안 한 학생 2명의 출석번호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입력은 총 28줄로 각 제출자(학생)의 출석번호 n(1 <= n <= 30)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출석번호에 중복은 없다.

 

▶ 출력

출력은 2줄이다. 1번째 줄엔 제출하지 않은 학생의 출석번호 중 가장 작은 것을 출력하고, 2번째 줄에선 그다음 출석번호를 출력한다.

 

▶ 예제입력1

3
1
4
5
7
9
6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예제출력1

2
8

 

▶ 예제출력2

9
30
6
12
10
20
21
11
7
5
28
4
18
29
17
19
27
13
16
26
14
23
22
15
3
1
24
25

 

▶ 예제출력2

2
8

 

▶ 풀이01_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boolean[] student = new boolean[31];

        for(int i = 0; i < 28; i++) {
            int stuNum = scanner.nextInt();
            student[stuNum] = true;
        }

        for(int i = 1; i <= 30; i++) {
            if(!student[i]) {
                System.out.println(i);
            }
        }
    }
}

 

▶ 풀이02_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oolean[] student = new boolean[31];

        for(int i = 0; i < 28; i++) {
            int stu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udent[stuNum] = true;
        }

        for(int i = 1; i <= 30; i++) {
            if(!student[i]) {
                System.out.println(i);
            }
        }
    }
}

 

▶ 풀이03_HashSet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Set<Integer> students = new HashSet<>();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for(int i = 1; i <= 30; i++) {
            students.add(i);
        }

        for(int i = 0; i < 28; i++) {
            int stu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udents.remove(stuNum);
        }

        List<Integer> result = new ArrayList<>(students);
        Collections.sort(result);

        for (Integer n : result) {
            System.out.println(n);
        }
    }
}

HashSet이란

 

Java에서 자주 쓰이는 컬렉션 중 하나.

중복 허용하지 않고, 순서 보장하지 않는 자료구조.

 

java.util 패키지에 있는 클래스이고, S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임.

 

중복허용하지 않는다는 건, 같은 값은 한 번만 저장되고

순서보장하지 않는다는 건, 입력 순서와 출력 순서가 다를 수 있음.

null은 허용하고, 빠른 탐색이 가능.

 

내부 동작을 보면

내부적으로 HashMap을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값이 들어올 때 hashCode() 값을 계산해서 저장 위치를 결정함.

그래서 값이 많아져도 빠르게 검색, 삽입, 삭제가 가능.

 

자세한 설명은 HashSet에 대한 글 참고.

 

더보기

첫 번째는 풀이03, 두 번째는 풀이02, 세 번째는 풀이01

Scanner보다 BufferedReader, HashSet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이 훨씬 적음.


8. 3052_나머지

 

▶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부터 열 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 예제입력1

1
2
3
4
5
6
7
8
9
10

 

▶ 예제출력1

10

 

▶ 예제입력2

42
84
252
420
840
126
42
84
420
126

 

▶ 예제출력2

1

 

▶ 예제입력3

39
40
41
42
43
44
82
83
84
85

 

▶ 예제출력3

6

 

▶ 풀이01_Scanner, HashSet

import java.util.HashSet;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HashSet<Integer> nums = new HashSet<>();

        for(int i = 0; i < 10; i++) {
            int num = scanner.nextInt();
            nums.add(num % 42);
        }
        System.out.println(nums.size());
    }
}

 

▶ 풀이02_BufferedReader, HashSet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HashSe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HashSet<Integer> hi = new HashSet<>();

        for(int i = 0; i < 10; i++) {
            int 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hi.add(num % 42);
        }
        System.out.println(hi.size());
    }
}

StringTokenizer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입력할 때 한 줄씩 입력하기 때문에 BufferedReader.readLine()으로 읽을 수 있기 때문.

 

한 줄로 입력하게 되면 공백으로 나누어야 하기 때문에 StringTokenizer을 사용해야 하지만, 이번 문제는 그럴 필요가 없음.


9. 10811_바구니 뒤집기

 

▶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순서대로 적혀 있다.

바구니는 일렬로 놓여 있고, 가장 왼쪽 바구니를 1번째 바구니, 그다음 바구니를 2번째 바구니, ..., 가장 오른쪽 바구니를 N번째 바구니라고 부른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들려고 한다. 도현이는 한 번 순서를 역순으로 바꿀 때, 순서를 역순으로 만들 범위를 정하고, 그 범위에 들어있는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다.

바구니의 순서를 어떻게 바꿀지 주어졌을 때, M번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 다음, 바구니에 적혀있는 번호를 가장 왼쪽 바구니부터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0)과 M (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재 줄부터 M개의 줄에는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드는 방법이 주어진다. 방법은 i j로 나타내고, 왼쪽으로부터 i번째 바구니부터 j번째 바구니의 순서를 역순으로 만든다는 뜻이다. (1 <= i <= j <= N)

도현이는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대로 바구니의 순서를 바꾼다.

 

▶ 출력

모든 순서를 바군 다음에, 가장 왼쪽에 있는 바구니부터 바구니에 적혀있는 순서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 예제입력1

5 4
1 2
3 4
1 4
2 2

 

▶ 예제출력1

3 4 1 2 5

 

▶ 풀이01_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basketNum = scanner.nextInt();
        int[] basket = new int[basketNum];
        int inverseNum = scanner.nextInt();

        for(int i = 0; i < basket.length; i++) {
            basket[i] = i + 1;
        }

        for(int i = 0; i < inverseNum; i++) {
            int num1 = scanner.nextInt() - 1;
            int num2 = scanner.nextInt() - 1;

            while(num1 < num2) {
                int temp = basket[num1];
                basket[num1] = basket[num2];
                basket[num2] = temp;

                num1++;
                num2--;
            }
        }
        for(int i = 0; i < basket.length; i++) {
            System.out.print(basket[i] + " ");
        }
    }
}

 

▶ 풀이02_BufferedReader, StringTokeniz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basketNu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asket = new int[basketNum];
        int inverseNu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int i = 0; i < basket.length; i++) {
            basket[i] = i + 1;
        }

        for(int i = 0; i < inverseNu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um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1;
            int num2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1;

            while(num1 < num2) {
                int temp = basket[num1];
                basket[num1] = basket[num2];
                basket[num2] = temp;

                num1++;
                num2--;
            }
        }
        for(int i = 0; i < basket.length; i++) {
            System.out.print(basket[i] + " ");
        }
    }
}

 

▶ 풀이03_BufferedReader, StringTokenizer, StringBuild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basketNu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inverseNu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askets = new int[basketNum + 1];

        for(int i = 1; i < baskets.length; i++) {
            baskets[i] = i;
        }

        for(int i = 0; i < inverseNu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um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num2 = Integer.parseInt(st.nextToken());

            while(num1 < num2) {
                int temp = baskets[num1];
                baskets[num1] = baskets[num2];
                baskets[num2] = temp;

                num1++;
                num2--;
            }
        }
        for(int i = 1; i < baskets.length; i++) {
            sb.append(baskets[i]).append(" ");
        }
        System.out.println(sb);
    }
}

풀이02, 풀이03에서

두 번째 for문 다음에 StringTokenizer에 대한 객체를 한 번 더 생성해줘야 하는 것을 잊지 말자.

 

더보기

첫 번째는 풀이03

두 번째는 풀이02

세 번째는 풀이01

 

코드 길이가 길어도 시간이 가장 짧은 것을 볼 수 있음.

BufferedReader, StringBuilder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 같음.


10. 1546_평균

 

▶ 문제

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 이 값을 M이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 / M*100으로 고쳤다.

예를 들어,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70 * 100이 되어 71.3점이 된다.

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

 

▶ 출력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2이하이면 정답이다.

 

▶ 예제입력1

3
40 80 60

 

▶ 예제출력1

75.0

 

▶ 예제입력2

3
10 20 30

 

▶ 예제출력2

66.666667

 

▶ 예제입력3

4
1 100 100 100

 

▶ 예제출력3

75.25

 

▶ 예제입력4

5
1 2 4 8 16

 

▶ 예제출력4

38.75

 

▶ 예제입력5

2
3 10

 

▶ 예제출력5

65.0

 

▶ 예제입력6

4
10 20 0 100

 

▶ 예제출력6

32.5

 

▶ 예제입력7

1
50

 

▶ 예제출력7

100.0

 

▶ 예제입력8

9
10 20 30 40 50 60 70 80 90

 

▶ 예제출력8

55.55555555555556

 

▶ 풀이01_Scanner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subjects = scanner.nextInt();
        int[] scores = new int[subjects];
 
        for(int i = 0; i < subjects; i++) {
            scores[i] = scanner.nextInt();
        }

        // 최대값 구하기
        int M = scores[0];
        for(int i = 1; i < subjects; i++) {
            if(scores[i] > M) {
                M = scores[i];
            }
        }

        double sum = 0;
        for(int i = 0; i < subjects; i++) {
            sum += (double) scores[i] / M * 100;
        }

        double avg = sum / subjects;
        System.out.println(avg);
    }
}

 

▶ 풀이02_BufferedReader, StringTokenizer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subjects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scores = new int[subjects];

        // 점수입력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i = 0; i < subjects; i++) {
            scores[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최대값 구하기
        int M = scores[0];
        for(int i = 1; i < subjects; i++) {
            if(scores[i] > M) {
                M = scores[i];
            }
        }

        // 새로운 점수로 평균 구하기
        double sum = 0;
        for(int i = 0; i < subjects; i++) {
            sum += (double) scores[i] / M * 100;
        }

        double avg = sum / subjects;
        System.out.println(avg);
    }
}

 

▶ 풀이03_다른사람 풀이방법 중 하나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subjects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M = 0;
        double result = 0;
        for(int i = 0; i < subjects; i++) {
            int scores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Math.max(M, scores);
            result += scores;
        }
        System.out.println((result / M * 100) / subjects);
    }
}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알고리즘]_반복문  (0) 2025.04.14
[백준 알고리즘]_조건문  (0) 2024.08.14
[백준 알고리즘]_입출력과 사칙연산  (1) 2024.08.13